김시내 개인전

 

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를 졸업하고 지난해 7월 한국에 귀국한 김시내(1975)의 전시가 두 곳에서 열리고 있다. 종로구 원서동 space DA에서는 일차원적 인간(One Dimensional Man)’이라는 제목으로 개인전을, 그리고 쌈지스페이스에서는 매해 3명의 젊은 신진 작가를 소개하는 ‘Emerging 8’에서 사이렌송(Sirensong)’이라는 작품을 메인 작품으로 그룹전에 참여하고 있다.

 

이 두 전시에서 작가는 <일차원적 인간(One Dimensional Man)>, <눈먼자들(Blindness)>, <사이렌송(Sirensong)>, <구속(Redemption)>의 총 4점을 전시하고 있다. 김시내는 1999년 이래 웹 아트로 방향을 전향하고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에서 2년 동안 아트와 기술의 접점을 탐구해 왔다. 기본적으로 웹 아트라 함은 컴퓨터 기술을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웹 환경을 이용하여 전시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만나도록 하는 것에 핵심이 있다. 웹 아트는 1970년대 이래 주요 이슈가 되어온 미술의 대중화와 민주화를 완성할 수 있을 듯한 환상을 작가들에게 주면서 수없이 많은 작가들이 밀레니엄을 전후로 웹 아트에 관심을 보였다. 웹상에 올려진 작품은 전세계의 사람들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특정 지역의 미술관에서 전시를 가지는 것보다 더 큰 가시성을 획득할 수도 있다. 또한 엄청난 금액에 예술 작품이 거래되는 자본주의 논리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처럼 보이기도 한다.

 

하지만 밀레니엄의 열기가 식으면서 웹을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했던 작가들은 차츰 웹 아트의 한계를 느끼기 시작했다. 우선 가시성에 있어 웹 아트 작품이 웹 상에서 전시되고 있기에 논리적으로는 전 세계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만 현실은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작품이 전시되고 사람들이 직접 공간을 방문하여 작품을 관람하는 것을 능가하지 못했다. 쉽게 말해 내가 만든 홈페이지는 누구나 볼 수 있다는 공개성을 가지고 있지만, 알려지지 않는다면 그 누구도 와보지 않는다는 것이다. 동시에 미술의 상업화라는 측면에서는 웹 아트와의 존재 여부와는 상관 없이 미술 작품, 즉 오브제로서의 작품을 소유하고자 하는 욕구는 지속적으로 존재해왔으며, 심지어 2000년대 이후 작품 컬렉션에 대한 열기는 더욱 대중화 되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.

 

 

어찌 보면 밀레니엄을 전후로 한 웹 아트에 대한 관심은 밀레니엄이라는 단어, 그리고 인터넷 사용 환경의 전세계화가 가져온 장미 빛 환상일 뿐 현실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할 것이다. 그렇다면 오늘날 웹 아트가 지닌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? 작품을 제작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할지라도 마지막 완성된 작품은 기술의 신기함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예술 작품으로 인식될 수 있는 요소들, 혹은 개념들을 담고 있어야 한다. 그리고 보여지는 방식에 있어서는 그 마지막 완성품이 물리적 공간, 즉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전시라는 형식으로 보여질 수 있어야만 한다. 비록 웹 아트가 지금 당장은 미술계의 권력 구조-미술관과 갤러리라는 물리적 권력 구조-에 굴복하는 듯 보여질지라도 말이다.

 

김시내가 지난 10년 동안 고민해오던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웹 아트가 가진 모순성이라 할 것 이다. 그리고 현재 스페이스다(space DA)와 쌈지 스페이스에서 보여지고 있는 작품들은 웹 아트를 통해 본격적으로 미술계에 발을 들여 놓은 작가 김시내가 웹 아트가 지닌 모순성을 나름대로 극복하고 다다른 그녀 자신만의 예술 세계다.

 

현재 그녀가 보여주는 작품들에서 우리가 주요하게 만날 수 있는 개념은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 환경이 기반하고 있는 가장 큰 시스템, 바로 기술과 자본이라는 거대 권력 구조 이다. 김시내는 기술 발달에 기반하여 형성된 이라는 새로운 생활 환경이 우리의 정신 구조 및 생활에 미치는 영향, 그리고 고도로 발달된 자본주의 문화가 우리의 삶과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회화나 조각이 아닌 컴퓨터 및 기타 기술적 요소를 도입한 작품을 통해 드러낸다. 쌈지 스페이스에서 전시되고 있는 <사이렌송>에 대해 김시내는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.

 

어느날 문득 버스를 타고 지나가다가 길거리의 나무들을 보았다. 끊임없이 흔들리지만 그 자리를 이탈할 수 없는 나뭇가지들…나는 견고한 나뭇가지의 중심에서 매달려 있는 신을 보았다. 중심에 묶인 신과 자신을 유지하려는 맹목적인 결의를 가진 소시민들…오디세우스의 신화가 떠오른다. 사이렌의 유혹에 저항하는 오디세우스와 선원들. 사이렌의 유혹은 저항하기에는 너무나 강력한 힘이다. 오디세우스는 이 상황을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두 개의 가능성만이 있음을 안다…그들의 귀를 밀랍으로 봉하고는 온 힘을 다해 노를 저어갈 것을 명령한다. 살아남고 싶은 자는 되돌릴 수 없는 유혹을 들어서는 안된다…들을 수 없을 때만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. 또 다른 가능성은 사이렌의 소리를 듣는 것 이다. 그렇지만 마스트에 묶인 무력한 상태에서만 들을 수 있다. 유혹이 클수록 그는 더욱더 자신을 강하게 묶도록 만든다.”

 

김시내의 언급은 그녀의 작품에 일관적으로 흐르고 있는 현대인들의 삶을 억압하는 사회의구조와 그 구조 안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, 심지어는 그 구조를 제대로 인식하지도 못하고 휘둘리며 살아가는 우리의 삶에 대한 지적 이다. <사이렌송>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헤드셋을 착용해야만 한다. 헤드셋을 통해 나오는 기계음은 우리 삶을 지배하고 있는 온갖 종류의 기계 문명-핸드폰, 컴퓨터, 인터넷, 자동차, 등등등-을 상징한다고 여겨진다. 쌈지 스페이스에 걸려있는 또 다른 작품 <구속(Redemption)>은 우리가 매일 마주하고 살아가는 컴퓨터 화면의 스크롤 바에서 시작된 작품 이다. 스크롤이 움직여질 수 있는 범위의 한계는 우리가 만날 수 있고 볼 수 있는 정보의 한계이자, 더 나아가서는 사회가 허용하는 우리 인식의 한계라 할 것 이다. 스페이스다에 전시되고 있는 <일차원적 인간>의 머리 위 나무 구조물은 우리를 억압하고 있는 사회 시스템을 상징한다. 그 아래에 서있는 관객은 자유로운 듯 보이지만 결국은 작품을 경험하기 위해 우리는 그 안에 머물러야만 하고, 그 안에 머무르는 이상은 끊임없이 카메라의 감시하에 놓이게 된다.

 

 

 

조세 사라마고(Jose Saramago)의 소설 『눈먼자들의 도시(Blindness)』에서 제목을 가져온 <눈먼자들의 도시>273개의 전구로 구성된 작품이다. 실명이 전염병이 되는 상황을 기본 구조로 한 이 소설의 마지막 구절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나온다.

 

왜 우리가 눈이 멀게 된거죠. 모르겠어. 언젠가는 알게 되겠지.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. . 알고싶어.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될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.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.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.

 

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.”

 

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의 사회. 김시내의 작품은 이 눈먼 사람들을 만들어내는 사회의 구조와 그 안에서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고 귀가 있어도 듣지 않는 우리들의 모습에 대한 것이다.

 

BY 아트디렉터 주연화